로렌스 스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렌스 스턴은 아일랜드에서 태어난 영국의 소설가이자 성공회 사제였다. 그는 대표작인 《신사 트리스트럼 섄디의 삶과 의견》에서 파격적인 형식과 유머를 선보이며 문학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스턴은 또한 《프랑스와 이탈리아를 통한 감상 여행》과 같은 작품을 썼으며, 그의 작품은 20세기 모더니즘 소설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티퍼레리주 출신 - 더 클랜시 브라더스
더 클랜시 브라더스는 아일랜드 민요와 반군가를 활기차게 부르는 스타일로 인기를 얻은 아일랜드 포크 그룹으로, 에드 설리번 쇼 출연을 통해 국제적인 스타덤에 오르며 아일랜드 및 미국 포크 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티퍼레리주 출신 - 럼스덴 헤어
럼스덴 헤어는 아일랜드 태생으로 1900년부터 1961년까지 브로드웨이 연극, 영화,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활약하며 35편 이상의 브로드웨이 연극과 140편 이상의 영화, 12편 이상의 TV 프로그램에 출연한 배우이다. - 1713년 출생 - 홍봉한
홍봉한은 영조와 정조 시대의 권력자이자 정조의 외조부로, 혜경궁 홍씨가 세자빈으로 간택된 후 관료 생활을 시작하여 영의정까지 올랐으나, 사도세자 죽음의 책임론과 정조의 개혁 정책에 저항하다 실각한 인물이다. - 1713년 출생 - 숙가황귀비
숙가황귀비 김씨는 조선 출신으로 건륭제의 후궁이 되어 네 아들을 낳았고, 사후 황귀비로 추봉되었으며, 그녀의 아들들은 청나라 정치에 영향력을 행사했고, 그녀의 가문은 가경제 때 만주 성씨를 하사받았으며, 현대 대중 문화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 1768년 사망 - 카날레토
카날레토는 "작은 운하"라는 뜻의 예명으로 알려진 베네치아 출신 화가로, 베두티스타 화풍을 발전시켜 베네치아 건축물과 도시 풍경을 사진처럼 정확하게 묘사하는 능력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뛰어난 투시도법과 빛의 묘사가 특징이다. - 1768년 사망 - 프란츠 2세
프란츠 2세는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이자 오스트리아의 첫 번째 황제(프란츠 1세)로서,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을 겪으며 신성 로마 제국 해체 후 오스트리아 제국을 건설하고 빈 체제 수립에 기여했으나, 자유주의 억압 정책을 시행했다.
로렌스 스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로렌스 스턴 |
출생 | 1713년 11월 24일 |
출생지 | 아일랜드 클론멜 |
사망 | 1768년 3월 18일 (54세) |
사망지 | 영국 런던 |
국적 | 영국 |
직업 | 소설가, 성직자 |
학력 | |
모교 | 케임브리지 대학교 예수 칼리지 |
작품 활동 | |
장르 | 소설 풍자 |
영향 받은 작품 | 미겔 데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 |
대표작 | 《트리스트럼 섄디의 삶과 의견》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감상 여행》 《정치적 로망스》 |
가족 | |
배우자 | 엘리자베스 럼리 |
2. 생애
로렌스 스턴은 아일랜드 남부 티퍼레리주 클론멜에서 태어났다. 그의 증조부 리처드 스턴은 케임브리지 대학교 지저스 칼리지의 학장이었고, 왕정복고 이후 요크 대주교였다. 아버지 로저 스턴은 육군 장교였으며, 로렌스는 7남매 중 장남이었으나, 누나 마리와 막내 여동생 카트린을 제외하고는 일찍 사망했다. 로렌스는 10살이 될 때까지 가족과 함께 아버지의 연대 이동에 따라 여러 지역을 전전했다.
1722년, 요크에 사는 삼촌 리처드에게 맡겨져 할리팩스 근교의 그래머 스쿨에 입학했다. 1731년, 아버지 로저는 동료와 결투를 벌인 후 자메이카 섬으로 파견되었고, 그곳에서 열병으로 사망했다.
1733년, 로렌스는 삼촌과 사촌 리처드의 도움으로 케임브리지 대학교에 진학하여 증조부 스턴 대주교가 설립한 장학생으로 선발되었다. 1737년에 학사, 1740년에는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서튼에서 교구 목사가 되었다. 1741년, 엘리자베스와 결혼하여 딸 리디아가 태어났다. 성직자로서 평범한 삶을 살았지만, 대학 시절 친구 할 스티븐슨과의 교류를 통해 프랑스의 골계 문학, 몽테뉴, 세르반테스, 로크, 라블레 등의 저작을 접했다.
1759년, 요크 지역 종교계의 세력 다툼을 풍자한 소책자를 간행한 후, 『트리스트럼 섄디』 집필을 시작했다. 1760년, 46세에 『트리스트럼 섄디』 제1권과 제2권을 자비 출판하여 큰 호평을 받았다. 런던에서도 유명 인사가 되어 사교계에 초대받는 등 인기를 얻었고, 그해 콕스월드로 이사했다.
1761년, 『트리스트럼 섄디』 제3권, 제4권, 제5권, 제6권을 출판했다. 결핵 증세가 있었지만, 이 해에 다시 객혈했다. 1762년, 프랑스에서 요양하며 병세는 소강상태를 보였으나, 아내와는 냉랭한 관계가 되어 별거했다.
1765년과 1767년에 『트리스트럼 섄디』 제7권, 제8권, 제9권을 출판했지만, 미완으로 끝났다. 1767년, 엘리자베스 드레이퍼와 연애 관계가 되었고, 그녀가 인도로 돌아갈 때 서로 일기를 쓰기로 약속했다. 이 일기는 20세기에 『엘리자에게 보내는 일기』로 출판되었다.
1768년 2월, 『감상적인 여행』을 출판했다. 이 작품은 대륙 여행 체험에서 탄생했으며, "요릭 저"로 표기했다. 같은 해 3월, 병세가 악화되어 런던에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로렌스 스턴은 1713년 11월 24일 아일랜드 티퍼레리 주 클론멜에서 태어났다.[1] 그의 아버지 로저 스턴은 영국 군대의 소위였고,[2] 증조부 리처드 스턴은 케임브리지 대학교 예수 칼리지 학장이자 요크 대주교였다.[3]스턴은 어린 시절 아버지의 군 복무로 인해 잦은 이사를 경험했다. 스턴의 가족은 클론멜과 더블린 외에도 위클로 주 애너모이, 라우스 주 드로헤다, 웨스트미스 주 캐슬폴라드, 앤트림 주 캐릭퍼거스, 데리 시 등 여러 곳에서 살았다.[4] 1724년, 로저 스턴은 스턴을 부유한 형제 리처드에게 맡겨 핼리팩스, 웨스트 요크셔 근처의 히퍼홀름 문법 학교에 다니게 했다.[5] 스턴은 1731년 자메이카에서 말라리아로 사망한 아버지를 다시는 보지 못했다.[6]
1733년, 스턴은 케임브리지 대학교 예수 칼리지에 시저(sizar) 자격으로 입학했다.[7] 그는 1737년 문학사 학위를 받았고, 1740년에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8]
2. 2. 성직 및 결혼
스턴은 1737년 3월 6일 성공회 부제 서품을 받았고,[1] 1738년 8월 20일 사제 서품을 받았다.[1] 사제 서품을 받은 지 며칠 후, 요크셔의 서턴온더포레스트 목사직을 받았다.[2] 1743년, 노스요크셔 스틸링턴 교구에도 임명되어 서턴과 스틸링턴에서 모두 직무를 수행했다.[2] 그는 요크 민스터의 참사회원이기도 했다.[2]1741년 3월 30일, 스턴은 엘리자베스 럼리와 결혼했으며,[2] 둘 사이에는 딸 리디아가 태어났다.
2. 3. 작가 활동
1759년, 스턴은 요크 지역 종교계의 권력 다툼을 풍자한 《정치적 로맨스》(A Political Romance)를 출간했다.[4] 그러나 이 작품은 대부분 파괴되었다. 1760년 익명의 편지에 따르면, 스턴은 "자신이 글을 쓸 수 있다는 것을 거의 알지 못했으며, 독자를 웃게 만들 정도의 유머를 구사하는 것은 더더욱 몰랐다"고 한다.46세의 스턴은 남은 생애 동안 글쓰기에 전념했다. 그는 시골에서 농부로서 수입을 보충하려는 시도가 실패하고 결핵으로 고생하는 동안 그의 가장 유명한 소설인 《신사 트리스람 섄디의 삶과 의견》(The Life and Opinions of Tristram Shandy, Gentleman)의 작업을 시작했으며, 그 첫 번째 권은 1759년에 출판되었다.[4] 스턴은 그의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아내가 심각하게 아팠으며, 딸 또한 열병에 걸려 아팠던 해에 그의 유명한 코믹 소설을 집필했다.[4] 그는 가능한 한 빨리 글을 썼으며, 1759년 1월과 3월 사이에 첫 18개의 장을 썼다.[5] 그의 열악한 재정 상황으로 인해, 스턴은 그의 소설 인쇄를 위해 돈을 빌려야만 했으며, 이는 스턴이 그의 작품의 장래 상업적 성공에 대해 확신을 가지고 있었고, 그 소설에 대한 지역 비평의 반응이 대출을 정당화할 만큼 호의적이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트리스람 섄디》의 출판은 스턴을 런던과 유럽 대륙에서 유명하게 만들었다. 그는 사람들의 관심에 기뻐하며 "나는 먹기 위해 쓴 것이 아니라 유명해지기 위해 썼다"고 말했다.[6] 그는 매년 런던에서 보냈으며, 새로운 권이 출판될 때마다 환영받았다. 《트리스람 섄디》의 세 번째와 네 번째 권이 출판된 후에도, 그의 관심에 대한 애정(특히 재정적 성공과 관련된)은 줄어들지 않았다. 한 편지에서 그는 "도시의 절반은 내 책을 격렬하게 비난하는 반면, 다른 절반은 하늘 높이 칭찬한다. 가장 좋은 점은, 그들이 비난하면서도 책을 사고 있으며, 매우 빠른 속도로 두 번째 판을 준비하고 있다는 것이다"라고 썼다.[7] 바론 포컨버그는 스턴을 요크셔 노스 라이딩의 콕스월드의 영구적인 교구 목사로 임명하여 보상했다.
1766년, 노예제 폐지에 대한 논쟁이 절정에 달했을 때, 작곡가이자 전 노예였던 이그나티우스 산초는 스턴에게 편지를 써서,[8] 노예 무역 폐지를 위해 그의 펜을 사용하도록 격려했다.[9] 1766년 7월, 스턴은 《트리스람 섄디》에서 그의 가상 인물인 코퍼럴 트림과 그의 형제 톰 사이의 대화를 쓴 직후 산초의 편지를 받았다. 톰은 그가 방문했던 리스본의 소시지 가게에서 흑인 하인의 억압에 대해 묘사했다.[10] 산초의 편지에 대한 스턴의 널리 알려진 답장은 18세기 노예 폐지 운동 문학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10]

스턴은 병마와 계속 싸우며 1762년 고통을 완화할 기후를 찾기 위해 프랑스로 떠났다. 당시 영국과 프랑스는 7년 전쟁에서 여전히 적대 관계였기 때문에, 스턴은 토리노로 향하는 외교 일행에 합류했다. 스턴은 프랑스에서 《트리스트럼 섄디》의 천재성에 대한 소문이 그를 유명인으로 만들면서 환대를 받았다. 이 프랑스 여행의 일부는 스턴의 두 번째 소설인 《프랑스와 이탈리아 감상 기행》에 포함되었다.[11]
1767년 초, 스턴은 동인도 회사 관리의 아내인 엘리자 드레이퍼를 만났는데, 그녀는 런던에서 혼자 머물고 있었다.[12][13] 그는 엘리자의 매력, 활기, 지성에 금세 사로잡혔고, 그녀는 그의 관심을 별로 막지 않았다. 그들은 자주 만나 미니어처 초상화를 교환했다. 스턴의 존경은 집착으로 변했고, 그는 그것을 숨기려고 노력하지 않았다. 그가 매우 괴로워하게도, 엘리자는 그들이 처음 만난 지 3개월 만에 인도로 돌아가야 했고, 그는 1년 후 그녀를 다시 보지 못한 채 폐병으로 사망했다.
1768년, 스턴은 그녀에 대한 다소 과장된 언급이 담긴 그의 《감상적인 여행》을 출판했고, 비록 정신적인 관계였지만 그 관계는 상당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그는 또한 그의 《엘리자를 향한 일기》를 썼는데, 그 중 일부를 그녀에게 보냈고, 나머지는 1894년 대영 박물관에 기증되면서 세상에 드러났다. 스턴이 죽은 후, 엘리자는 그의 편지 10통을 《요릭에서 엘리자에게 보내는 편지》라는 제목으로 출판하도록 허락했고, 그녀는 그에게 보낸 편지를 억제하는 데 성공했지만, 《엘리자의 요릭에게 보내는 편지》라는 책에는 노골적인 위조품이 실렸다.[14]
2. 4. 사망
《센티멘털 저니》가 출판된 지 한 달도 채 안 되어, 스턴은 1768년 3월 18일 54세의 나이로 올드 본드 스트리트 41번지에 있는 숙소에서 사망했다.[15] 그는 3월 22일 성 조지 교회(하노버 광장) 묘지에 묻혔다.[16] 스턴의 시신이 매장된 직후 도난당해 해부학자들에게 케임브리지 대학교에 팔렸다는 소문이 돌았다. 정황상 그의 시신은 그를 알고 있던 찰스 콜리뇽에 의해 확인되었고,[15][16] 그는 은밀하게 그를 성 조지 교회에 다시 묻었다고 한다. 1년 후, 한 무리의 프리메이슨들은 그의 원래 매장지 근처에 운율에 맞는 비문을 새긴 기념비를 세웠다. 두 번째 비석은 1893년에 세워졌으며, 기념비의 몇 가지 사실적 오류를 수정했다. 1969년, 성 조지 교회의 묘지가 재개발되었을 때, 발굴된 11,500개의 두개골 중에서 몇 개는 해부 또는 사후 검사로 인한 끔찍한 절개 자국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중 하나는 놀레켄스가 만든 스턴의 흉상과 일치하는 크기인 것으로 확인되었다.[17][18]두개골은 "어느 정도 의심의 여지가 있지만" 그의 것으로 여겨졌다.[19] 근처의 골격 뼈와 함께, 이 유해는 1969년 로렌스 스턴 트러스트에 의해 콕스월드 묘지로 옮겨졌다.[19][20][21] 콕스월드에 스턴의 두개골을 재매장한 이야기는 말콤 브래드버리의 소설 《은둔지로》에 언급되어 있다.[22]
3. 주요 작품
로렌스 스턴은 18세기 작가들에 비해 작품 수가 적다.[24] 초기에는 서간문을 주로 썼고, 1747년과 1750년에 설교 두 편을 출판했으며, 풍자에도 손을 댔다.[24] 1742년에는 지역 정치에 참여하여 관련 글을 쓰기도 했다.[24]
스턴은 프랑수아 라블레를 가장 좋아하는 작가로 꼽았으며, 서신에서 조너선 스위프트와 거리를 두고 라블레의 유머를 계승하고자 했다.[23][24]
대표작 ''신사 트리스트럼 섄디의 인생과 의견(The Life and Opinions of Tristram Shandy, Gentleman)''은 영국과 유럽 전역에서 널리 판매되었고, 출판 직후 주요 유럽 언어로 번역되었다.[25] 드니 디드로 등 여러 유럽 작가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브라질 작가 마샤두 지 아시스의 ''브라스 쿠바스의 사후 회고록(The Posthumous Memoirs of Bras Cubas)''에도 영향을 주었다.[25]
''프랑스와 이탈리아를 통한 감상적인 여행(A Sentimental Journey Through France and Italy)''은 ''트리스트럼 섄디''와 문체 면에서 유사성이 많으며, 비평가들은 이 작품을 ''트리스트럼 섄디''와 같은 예술적 프로젝트의 일부로 본다.[29]
생전에 출판된 스턴의 ''설교집'' 2권은 ''트리스트럼 섄디''보다 더 많이 팔렸지만, 내용은 전통적이었다.[31] 사후에는 여러 권의 서신과 ''엘리자를 위한 일기(Journal to Eliza)''가 출판되었다.[31] ''엘리자를 위한 일기(Journal to Eliza)''는 엘리자 드레이퍼와의 관계를 다룬 감상적인 내용의 서신 모음집이다.
주요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
- 1743년 – 《알 수 없는 세계: 종소리를 듣고 지은 시》(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휴버트 스토그던이 썼을 가능성이 있음)[30]
- 1747년 – 《엘리야와 사르밧 과부의 이야기》
- 1750년 – 《양심의 남용》
- 1759년 – 《정치적 로맨스》
- 1759년 – 《신사 트리스트럼 섄디의 인생과 의견》 1권과 2권
- 1760년 – 《요릭 씨의 설교》 1권과 2권
- 1761년 – 《신사 트리스트럼 섄디의 인생과 의견》 3–6권
- 1765년 – 《신사 트리스트럼 섄디의 인생과 의견》 7권과 8권
- 1766년 – 《요릭 씨의 설교》 3권과 4권
- 1767년 – 《신사 트리스트럼 섄디의 인생과 의견》 9권
- 1768년 – 《프랑스와 이탈리아를 통한 감상적인 여행》
- 1769년 – 《고(故) 스턴 목사의 설교》 5–7권 (《요릭 씨의 설교》의 후속작)[31]
3. 1. 《신사 트리스트럼 섄디의 삶과 의견》

로렌스 스턴의 대표작 ''신사 트리스트럼 섄디의 인생과 의견(The Life and Opinions of Tristram Shandy, Gentleman)''은 1759년부터 1767년까지 총 9권으로 출간되었다.[26][27] 이 소설은 주인공 트리스트럼 섄디의 탄생과 성장 과정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지만, 끊임없는 탈선과 해설, 등장인물들의 익살스러운 대화 등으로 인해 줄거리가 파편화되는 독특한 형식을 취한다.
소설은 트리스트럼이 자신의 잉태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스턴이 "점진적인 탈선"이라고 부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3권에 이르러서야 트리스트럼의 출생에 도달한다.[26][27] 소설에는 라블레와 미겔 데 세르반테스의 영향이 나타난다.
스턴은 존 로크의 『인간 오성론』(1689년)에서 제시된 "관념 연합"의 원리를 소설에 적용하여, 인간 의식의 흐름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독자와의 적극적인 소통을 시도했다. 작중에서 독자에게 말을 거는 등 일종의 메타픽션 요소도 나타난다.
이 작품은 출판 당시부터 큰 논란과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새뮤얼 존슨은 "이상한 것은 오래가지 못한다. ''트리스트럼 섄디''는 오래가지 못했다."라고 평했지만,[25] 볼테르는 "라블레보다 분명히 우월하다"라고 했고, 요한 볼프강 폰 괴테는 스턴을 "살았던 가장 아름다운 정신"이라고 칭찬했다.[32][33]
19세기에는 유머 문학의 일부로 간주되었으나, 20세기 들어 제임스 조이스, 버지니아 울프 등 모더니스트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친 선구적인 작품으로 재평가되었다.[28] 러시아 형식주의 작가 빅토르 시클로프스키는 ''트리스트럼 섄디''를 "세계 문학에서 가장 전형적인 소설"로 간주했다.[29]
스턴은 소설 페이지에 설교, 에세이 및 법적 문서를 삽입하고, 대리석 페이지와 서술 내부에 완전히 검은 페이지를 포함시켜 활판 인쇄 디자인의 한계를 탐구하기도 했다.
3. 2. 《프랑스와 이탈리아를 통한 감상 여행》
스턴은 병마와 계속 싸우며 1762년 고통을 완화할 기후를 찾기 위해 프랑스로 떠났다. 당시 영국과 프랑스는 7년 전쟁에서 여전히 적대 관계였기 때문에, 스턴은 토리노로 향하는 외교 일행에 합류했다. 스턴은 프랑스에서 ''트리스트럼 섄디''의 천재성에 대한 소문이 그를 유명인으로 만들면서 환대를 받았다. 이 프랑스 여행의 일부는 스턴의 두 번째 소설인 ''프랑스와 이탈리아 감상 기행''에 포함되었다.[11]''요릭 씨의 프랑스와 이탈리아 기행, 감상 여행(A Sentimental Journey through France and Italy, by Mr.Yorick)''은 1768년에 출간되었다.
번역서명 | 번역자 | 출판사 | 출판연도 |
---|---|---|---|
감상 여행 | 마츠무라 타츠오 | 양덕사 | 1947, 이와나미 문고 1952, 복간 1987 외 |
감상 여행 독·이를 지나 | 무라카미 시코 | 홍문당 서방 | 1947 |
풍류 표박 | 오다 마사노부 | 신월사 | 1948 |
감상 여행 | 야마구치 타카코·와타나베 마리 | 신초 문고 | 1952 |
감상 여행 요릭 사제의 프랑스와 이탈리아를 순례 | 고바야시 토루 | 아사히 출판사 | 1984 |
감상 여행 | 다카하시 마사히사 | 교록사 | 2021 |
3. 3. 기타 작품
4. 영향 및 평가
로렌스 스턴의 소설은 19세기에는 유머 문학의 한 재료 정도로 평가받았지만, 20세기에 들어 제임스 조이스, 마르셀 프루스트, 버지니아 울프 등 "의식의 흐름"을 추구한 문학의 흐름이 나타나면서 이들의 원류로 재평가받았다. 1968년에는 스턴 사후 200주년을 기념하여 영국에서 "스턴 200주년 기념제"가 열렸다.[32][33]
4. 1. 문학적 영향
로렌스 스턴의 대표작 『트리스트람 섄디』는 주인공 트리스트람이 좀처럼 등장하지 않고, 줄거리가 계속해서 벗어나며, 독특한 페이지 디자인과 기호를 사용하는 등 "어디가 머리고 꼬리인지 알 수 없는 해삼 괴물 같은 작품"[32][33]"으로 묘사된다. 이 작품은 독자에게 말을 거는 등 메타픽션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트리스트람 섄디』는 크게 두 가지 특징을 보인다. 첫째, 겉보기에는 맥락 없이 엉뚱하게 전개되는 듯하지만, 소설 속 다양한 사건들은 실제 시간 순서대로 배열되어 재구성이 가능하다. 둘째, 이러한 "탈선"은 존 로크가 『인간 오성론』(1689년)에서 처음 제시한 "연상" 혹은 "관념 연합"의 원리를 따르며, 이 원리에 의해 작품 전체가 구성적, 내용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19세기에 로렌스 스턴의 소설은 유머 문학의 한 부분으로만 평가받았으나, 20세기에 들어 제임스 조이스, 마르셀 프루스트, 버지니아 울프 등 "의식의 흐름" 기법을 사용한 작가들이 등장하면서, 스턴은 이들의 선구자로 재평가받게 되었다. 1968년에는 스턴 사후 200주년을 기념하여 영국에서 "스턴 200주년 기념제"가 개최되었다.
4. 2. 한국 문학과의 관계
나쓰메 소세키는 1897년에 《트리스트럼 섄디》라는 제목의 글을 발표했으며, 자신의 소설 《나는 고양이로소이다》 등에서 스턴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1]4. 3. 비판적 시각
새뮤얼 존슨은 "이상한 것은 오래가지 못한다. 《트리스트럼 섄디》는 오래가지 못했다."라고 평하며 스턴의 작품을 폄하하기도 했다.[32][33] 일부 비평가들은 스턴의 작품이 르네상스 시대 '학습된 재치' 전통의 부활에 불과하다고 주장하기도 한다.참조
[1]
웹사이트
Laurence Sterne's holy orders
https://www.bl.uk/co[...]
2020-02-07
[2]
ODNB
Laurence Sterne
http://www.oxforddnb[...]
2017-03-28
[3]
서적
[4]
문서
[5]
문서
[6]
학술지
Sterne and print culture
[7]
서적
The Letters of Laurence Sterne: Part One, 1739–1764
University Press of Florida
[8]
학술지
The extraordinary Negro': Ignatius Sancho, Joseph Jekyll, and the Problem of Biography
http://www.brycchanc[...]
2013-01-08
[9]
서적
Ignatius Sancho: an African Man of Letters
National Portrait Gallery
1996-12
[10]
웹사이트
Ignatius Sancho and Laurence Sterne
http://www.wwnorton.[...]
Norton
[11]
서적
The New Encyclopaedia Britannica
Encyclopaedia Britannica
1985
[12]
서적
[13]
웹사이트
The Project Gutenberg EBook of the Journal to Eliza and Various letters
https://www.gutenber[...]
2020-02-10
[14]
서적
Sterne's Eliza; some account of her life in India: with her letters written between 1757 and 1774
https://archive.org/[...]
W. Heinemann
[15]
서적
Necropolis: London and Its Dead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14-11-11
[16]
서적
[17]
뉴스
Is this the skull of Sterne?
1969-06-05
[18]
서적
[19]
뉴스
Laurence Sterne
http://www.bbc.co.uk[...]
2009-03-13
[20]
웹사이트
Laurence Sterne and the Laurence Sterne Trust
https://www.laurence[...]
Laurence Sterne Trust
2020-03-04
[21]
뉴스
Alas, Poor Yorick
Laurence Sterne Trust
1969-06-16
[22]
학술지
The Sense of History in Malcolm Bradbury's Work
2009
[23]
서적
Rabelais in English literature
https://books.google[...]
[24]
문서
[25]
서적
The Life of Samuel Johnson…
https://books.google[...]
1824
[26]
서적
[27]
뉴스
The best comic novel ever written?
http://www.bbc.com/c[...]
2019-06-17
[28]
서적
[29]
웹사이트
Two Englishmen in France: A Comparison of Laurence Sterne's Book 7 of "Tristram Shandy" and "A Sentimental Journey"
https://www.duo.uio.[...]
University of Oslo
2020-02-28
[30]
학술지
'The Unknown World': The Poem Laurence Sterne Did Not Write
[31]
서적
Works of Laurence Sterne
https://books.google[...]
Bohn
1851
[32]
문서
夏目漱石『トリストラム、シヤンデー』。
[33]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